● 파일과 퍼미션
□ 리눅스 파일 구조
- 구조
□ 파일의 종류
기호 |
파일 종류 |
- |
일반 파일 |
d |
디렉토리 |
l |
링크파일 |
b |
블록 디바이스 파일 |
c |
문자 디바이스 파일 |
- 블록 디바이스 파일은 i/o의 최소 단위가 OS에서 정한 blk(블락) 단위로 cache 가능하다
- 문자 디바이스 파일은 순차적인 입출력을 하는 파일이다
* chche 란 하드디스크에서 자주 읽혀지는 블록을 메모리에 저장시켜서 읽히는 속도를 빠르게 한다
하드드스크에서 자주 사용하는 것을 정하는 방법에는 LRU, TTL 방식을 사용함
* LRU 방식은 위에서 자주 사용하는 것들이 상하로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 되는 것들이 가장 상위로 올라가는 형태
* TTL 방식은 사용한 것들에 시간을 부여되는데 그것들이 계속 줄어들다가 다시 사용하게 되면 시간이 다시 부여되고
일정 시간까지 사용 되지 않으면 삭제 되는 형태
□ 퍼미션
-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허가정도를 나타낸다
- 사용자는 소유자(User), 그룹소유자(gruop), 이외의 모든 사용자(other)로 구별한다
- 접근 권한에는 r, w, x, t 등의 권한으로 구별한다
구분 |
파일 |
디렉토리 |
r |
읽기 |
파일 목록 보기 |
w |
쓰기(지우기) |
파일 생성(삭제) |
x |
실행 |
들어가기 |
□ 퍼미션 구조
□ 표기 (8진수)
. 퍼미션은 각 문자의 합으로 표현
. r : 4, w : 2, x : 1
. rwx r-x r-x : 755
. rwx r-- r-- : 744
□ chmod
. 퍼미션 수정 명령
. # chmod [옵션] [퍼미션] [파일]
. 옵션
. # chmod 755 a.txt
. # chmod -R 750 aa/
-R |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수정 |
. 대상 : u(user), g(gruop), o(other), a(all)
. operator : +(추가), -(삭제), =(변경하지 않음)
. 퍼미션 : r, w, x, s, t
s: suid나 sgid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정 파일을 실행하면 소유자의 ID로 실행된다
t: 퍼미션과 관계없이 소유자만 삭제 가능하게 할 때 디렉토리에 other 권한을 제한한다
□ chown, charp
※ chown 은 사용하지 않는다 / 소유자가 변경되는 것은 안됨!!!
. 소유자 또는 그룹 소유자 변경
. # chown [-R] [유저명] [대상]
. # chown [-R] [유저명], [그룹명] [대상] - 비표준 명령어 이다
. # chgrp [-R] [그룹명]
. 8진수 표기법 명령어
'이만가지 IT&정보보안 > 리눅스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정리 : vi 편집을 이용한 부팅 시 자동 시간 설정 실습 (2) | 2020.04.23 |
---|---|
리눅스 정리 : 리눅스 파일시스템과 파티션 (0) | 2020.04.22 |
리눅스정리 : 사용자 관리 (4) | 2020.04.17 |
리눅스 정리 : 기초명령어 (1) | 2020.04.11 |
리눅스 정리 : 리눅스 파티션 구조 및 기초 명령어 (1) |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