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crontab 명령어를 이해하고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다 - rsync를 이용하여 Server와 client간 동기화를 확인 한다. □ CRON - 주기적으로 작업되는 작업 일정을 저장해서 자동으로 실행하는 데몬 - 관련파일 . /etc/rc.d/init.d/crond - 데몬 실행 스크립트 (스크립트란? txt기반의 명령어이다) (데몬이란?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그램) . /etc/crontab - 기본 스케줄 일정 - 시간별, 일자별, 주간별, 원간 실행 스케줄 관리 . /usr/bin/crontab - 스케줄 설정 프로그램 파일 . /etc/cron.allow , /etc/cron.deny - /usr/bin/crontab 이용제한 (allow와 deny는 동시에 사용하..
□ Ping - 특정 호스트까지의 연결과 대상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 # ping [ip] - 윈도우와 달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므로 ^c를 이용하여 강제 종료 해야한다 □ netstat - 네트워크 상태 진단 프로그램 참고 // ifconfig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변경하려할때 인터페이스 장치명을 확인할 때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 # netstat [옵션] - 옵션 -i 인터페이스 상태확인 -s IP, ICMP,TCP, UDP에 대한 패킷 통계정보 -nr 라우팅테이블 확인 - MTU : maximum transmission unit - RX : 수신패킷의 갯수 - TX : 전송패킷의 갯수 - DRP : 버린패킷 - OVR : 유실패킷 Destination : 대상..
□ 개요 -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내용 및 명령어 설정 파일을 위치를 익힌다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익힌다 1. ifconfig 명령을 이용한 ip 수정 및 확인 2. ip 설정을 잘못 하였을 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 지 확인한다 3.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통한 수정 및 확인 □ Network Interface Card(NIC)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함 (eth0,eth1) □ 디바이스 파일 - /lib/modules/2.6.18-274.el5/kernel/drivers/net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 한다 -_______ 부분은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ifconfig..
부팅 시 서버로부터 시간 정보를 받아 BIOS 시간과 시스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vi 편집을 이용합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