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ng
- 특정 호스트까지의 연결과 대상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 # ping [ip]
- 윈도우와 달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므로 ^c를 이용하여 강제 종료 해야한다
□ netstat
- 네트워크 상태 진단 프로그램
참고 // ifconfig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변경하려할때 인터페이스 장치명을 확인할 때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 # netstat [옵션]
- 옵션
-i |
인터페이스 상태확인 |
-s |
IP, ICMP,TCP, UDP에 대한 패킷 통계정보 |
-nr |
라우팅테이블 확인 |
- MTU : maximum transmission unit
- RX : 수신패킷의 갯수
- TX : 전송패킷의 갯수
- DRP : 버린패킷
- OVR : 유실패킷
Destination : 대상 주소 (0.0.0.0 : 모든 호스트)
Gateway : 대상과 연결해주는 관문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의IP
Genmask : 대상의 netmask (255.255.255.255 : 호스트, 0.0.0.0 : default route)
Flage : u(라우트), G(게이트웨이), R(동적 라우트 재생성), D(리다이렉트에 의해 재생성),
M(리다이렉트나 라우트 데몬에 의해 변경), !(거부)
MSS : Maximum Segment Size
irtt : 패킷 윈도우 사이즈
*참고 // 라우팅 테이블은 만지는 일은 거의 없으나 서로 다른네트워크를 연결시에는 라우팅테이블을에 경로를 추가시켜줘야한다
□ arp
- 상대방의 ip를 알때 MAC주소를 확인하는 방법
* 참고 // 명령어는 아니지만 rarp란 내 MAC Address 알때 ip 정보를 알 수있는 프로토콜이다
□ 기타 명령어
- nslookup, host, dig
- 도메인명에서 ip를 확인하거나 ip를 이용하여 도메인 명을 확인한다
'이만가지 IT&정보보안 > 리눅스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장비 서버 모델 확인 하는 법(Linux machine type) (4) | 2020.06.03 |
---|---|
리눅스 정리 : CRON&RSYNC (4) | 2020.04.28 |
리눅스 정리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1) | 2020.04.24 |
리눅스 정리 : vi 편집을 이용한 부팅 시 자동 시간 설정 실습 (2) | 2020.04.23 |
리눅스 정리 : 리눅스 파일시스템과 파티션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