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crontab 명령어를 이해하고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다 - rsync를 이용하여 Server와 client간 동기화를 확인 한다. □ CRON - 주기적으로 작업되는 작업 일정을 저장해서 자동으로 실행하는 데몬 - 관련파일 . /etc/rc.d/init.d/crond - 데몬 실행 스크립트 (스크립트란? txt기반의 명령어이다) (데몬이란?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그램) . /etc/crontab - 기본 스케줄 일정 - 시간별, 일자별, 주간별, 원간 실행 스케줄 관리 . /usr/bin/crontab - 스케줄 설정 프로그램 파일 . /etc/cron.allow , /etc/cron.deny - /usr/bin/crontab 이용제한 (allow와 deny는 동시에 사용하..
□ Ping - 특정 호스트까지의 연결과 대상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 # ping [ip] - 윈도우와 달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므로 ^c를 이용하여 강제 종료 해야한다 □ netstat - 네트워크 상태 진단 프로그램 참고 // ifconfig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변경하려할때 인터페이스 장치명을 확인할 때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 # netstat [옵션] - 옵션 -i 인터페이스 상태확인 -s IP, ICMP,TCP, UDP에 대한 패킷 통계정보 -nr 라우팅테이블 확인 - MTU : maximum transmission unit - RX : 수신패킷의 갯수 - TX : 전송패킷의 갯수 - DRP : 버린패킷 - OVR : 유실패킷 Destination : 대상..
안녕하세요 이만가지 오만가지 입니다.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 등록을 해보려고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란 ?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웹분석 서비스 입니다. 웹 분석은 방문자가 남긴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몇차래 방문 했는지?, 조회수, 데스크톱,모바일 접속 비율 접속한 기기, 접속한 브라우저 종류 등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 할수 있습니다. 그럼 애널리틱스에 블로그를 등록하여 어떠한 정보들이 표시되는지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등록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 합니다.^^ 먼저 구글 애널리틱스에 가입 합니다. https://analytics.google.com Redirecting... analytics.google.com 아래 입력해야되는 항목에 맞게 정보를 입력 합니다. 보고 ..
□ 개요 -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내용 및 명령어 설정 파일을 위치를 익힌다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익힌다 1. ifconfig 명령을 이용한 ip 수정 및 확인 2. ip 설정을 잘못 하였을 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 지 확인한다 3.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통한 수정 및 확인 □ Network Interface Card(NIC)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함 (eth0,eth1) □ 디바이스 파일 - /lib/modules/2.6.18-274.el5/kernel/drivers/net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 한다 -_______ 부분은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ifconfig..
안녕하세요 이만가지오만가지 입니다. 구글서치콘솔에 등록할 sitemap 만드는 법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sitemap을 만드는 사이트는 여러개가 있는데 해당사이트를 가장 많이들 사용하시는 거 같네요 https://www.xml-sitemaps.com/ Create your Google Sitemap Online - XML Sitemaps Generator Installable version We offer a server-side script written in PHP language that you can install on your server and create sitemap for your website. The script doesn't have the limit on number of pag..
안녕하세요 이만가지 오만가지 입니다. 구글에 이만가지오만가지 블로그가 검색되게 하려면 구글서치 콘솔에 등록을 해야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구글서치콘솔이란?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해주는 서비스로 검색엔진최적화의 기본적인 사항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Tool 입니다. 구글에서 구글서치콘솔 검색하여 접속 하면 사이트를 등록 할수 있습니다. 당연히 구글 계정은 필요합니다. ㅎㅎ 속성유형을 선택 할수 있고 URL접두어에 블로그 주소를 입력 합니다. 입력 후 계속버튼을 눌러 다음단계로 이동하면 소유권 확인 창이 나오게 됩니다. HTML 태그 방식을 선택하고 메타테그를 복사하여 티스토리 html 스킨편집 사이에 복사하여 적용 후 확인을 누르면 사이트 소유권 확인이 완료 됩니다. 소유권 확인 주소가 제 블로그 주소가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