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정리 : vi 편집을 이용한 부팅 시 자동 시간 설정 실습](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blog.kakaocdn.net/dn/ds8loS/btqDPXZw4MM/5cGcPK6AQVft67c4l2Ns3K/img.png)
리눅스 정리 : vi 편집을 이용한 부팅 시 자동 시간 설정 실습
부팅 시 서버로부터 시간 정보를 받아 BIOS 시간과 시스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vi 편집을 이용합니다.
- 이만가지 IT&정보보안/리눅스 정리
- · 2020. 4. 23.
리눅스 장비 서버 모델 확인 하는 법(Linux machine type) 안녕하세요. 이만가지 오만가지 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OS가 설치된 서버 모델 확인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리눅스 OS가 설치된 서버 모델(하드웨어 정보) 확인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midecode | grep Prod 해당명령어를 치면 서버 모델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개요 - crontab 명령어를 이해하고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다 - rsync를 이용하여 Server와 client간 동기화를 확인 한다. □ CRON - 주기적으로 작업되는 작업 일정을 저장해서 자동으로 실행하는 데몬 - 관련파일 . /etc/rc.d/init.d/crond - 데몬 실행 스크립트 (스크립트란? txt기반의 명령어이다) (데몬이란?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그램) . /etc/crontab - 기본 스케줄 일정 - 시간별, 일자별, 주간별, 원간 실행 스케줄 관리 . /usr/bin/crontab - 스케줄 설정 프로그램 파일 . /etc/cron.allow , /etc/cron.deny - /usr/bin/crontab 이용제한 (allow와 deny는 동시에 사용하..
□ Ping - 특정 호스트까지의 연결과 대상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 # ping [ip] - 윈도우와 달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므로 ^c를 이용하여 강제 종료 해야한다 □ netstat - 네트워크 상태 진단 프로그램 참고 // ifconfig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변경하려할때 인터페이스 장치명을 확인할 때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 # netstat [옵션] - 옵션 -i 인터페이스 상태확인 -s IP, ICMP,TCP, UDP에 대한 패킷 통계정보 -nr 라우팅테이블 확인 - MTU : maximum transmission unit - RX : 수신패킷의 갯수 - TX : 전송패킷의 갯수 - DRP : 버린패킷 - OVR : 유실패킷 Destination : 대상..
□ 개요 -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내용 및 명령어 설정 파일을 위치를 익힌다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익힌다 1. ifconfig 명령을 이용한 ip 수정 및 확인 2. ip 설정을 잘못 하였을 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 지 확인한다 3.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통한 수정 및 확인 □ Network Interface Card(NIC)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함 (eth0,eth1) □ 디바이스 파일 - /lib/modules/2.6.18-274.el5/kernel/drivers/net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 한다 -_______ 부분은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ifconfig..
부팅 시 서버로부터 시간 정보를 받아 BIOS 시간과 시스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vi 편집을 이용합니다.
● 파일시스템과 파티션 □ 파일시스템의 이해 - 파일시스템 :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운영체제의 논리적인 구조 . 각 OS들은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 Linux : ext3, ext2, xfs, jfs, ReiserFS.... . Windows : FAT, FAT32, NTFS... - 파티션 : 물리적인 디스크를 놀리적인 저장영역으로 구별한 것 - MBR (Marster Boot Record) : 윈도우나 유닉스가 사용할수 없는 영역, 특정파티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디스크의 앞쪽이 물리적으로 정의되어있는 sector OS가 직접 사용하지 않으며 부트로더가 저장된다. □ 파티션의 종류 - Primary partition : 물리적인 디스크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파일시스템을 생성, ..